Category 28

노트북에게 하드디스크 선물...

집에 굴러다니던 PC용 HDD를 연결해서 쓰는게 너무 귀찮아서 하나 샀다. 포장은 나름 꼼꼼하게 해서 보내주신 것 같다. 보증 기간은 뭐... 딱히 관심 없다. 깔끔하게 생겼다. 실물은 굉장히 작고 가볍다. 무슨 나사가 그렇게 많은지.... 오른쪽 아래의 빈 공간에 하드 디스크를 꽂으면 된다. 딱 맞다. 하하하하하 좋군 당분간은 메모리 걱정은 안해도 될 것 같다 ㅎㅎ

일상 2018.01.25

Linux에서 Google Drive 사용하는 법

구글은 아직 공식적으로 리눅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설치 해서 사용할 수 없다. 당연히 웹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매번 웹을 사용해서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은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 필자는 Linux Mint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준이다. sudo add-apt-repository ppa:nilarimogard/webupd8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grive 위의 명령어들을 사용해서 grive를 설치하자. 설치하고 나면 구글 드라이브와 연동할 폴더를 생성하고 폴더로 이동한다. grive -a // 구글 드라이브와 연동을 위한 절차를 시작한다. 인증 번호를 사용해 시키는 대로 하면 된다. grive // 연동이 완료 됐다면 이 명령어를 사용해서 수..

Linux 2018.01.07

대학생이라면 Google Drive를 사용하자

필자가 대학생이라는 것이 좋았던 적이 딱 두 번이다. 1. 도서관 이용2. Google Drive 무제한 용량 모든 대학교가 해당 사항은 아니기 때문에 각자 학교를 통해 확인을 거쳐야 한다. 이용하는 방법은 다들 네이버 클라우드 정도는 사용을 하고 있을 텐데 그와 차이가 없다. 구글에 로그인을 하면 Google App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그것은 네이버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이유와 같다. 데이터를 안전한 곳에 보관하고 장소와 디바이스에 관계없이 인터넷만 된다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특히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언급한 대로 용량이 무제한이기 때문이다.(대학생의 경우) 이는 엄청난 혜택인데 일반적인 경우 매월 큰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일상 2018.01.07

2018-01-04 근황

방학을 시작한지 일주일이 넘었지만...... 매일 1교시 부터 수업인 계절 학기 때문에 더 부지런하게 살고 있습니다. 어쩌다보니 보컬로 속해있던 밴드의 첫 공연을 하게 됐습니다. 어딘가에 소속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처음이자 마지막 공연이 됐습니다. 재밌는 경험이었네요. 재밌다는 평이 많아 휴가 나온 친구(살아 있는 할인권)와 함께 관람하고 왔습니다. 6천원의 영화값이 딱히 아깝지는 않았습니다. 그 보다는 2시간 20분이 조금 아까웠습니다. 다음 편은 다운로드 받아서 봐야겠습니다. 부경대학교 쪽문을 나가면 있는 치킨 공작소 입니다. 사진 찍는 것을 깜빡하고 한참 먹다가 찍었네요...ㅋㅋ 고등학교 때 자주 왔었는데 오랜만에 다시 와보니 다음은 없을 것 같습니다. 친구의 소개로 알게 된지는 얼마 안됐..

일상 2018.01.04

64bit 멀티코어 OS개발 환경 구축

https://ftp.gnu.org/gnu/binutils/ 최신 버전 설치 http://www.nasm.us/pub/nasm/releasebuilds/2.12.02/ NASM 설치 google drive에 QEMU 설치 gcc, g++ 같은 버전으로 최신 버전 설치 한국서버가 속도가 잘나옴 +Devel + binutils - 2.24.51-2 버전, 소스 및 바이너리 모두 설치+ bison - 2.7.1-1 버전, 바이너리만 설치+ flex - 2.5.35-1 버전, 바이너리만 설치+ gcc-core - 4.8.2-2 버전, 소스 및 바이너리 모두 설치+ gcc-g++ - 4.8.2-2 버전, 바이너리만 설치+ libiconv - 1.14-2 버전, 바이너리만 설치+ libtool - 2.4.1 버전,..

IT 2018.01.02

Intel IA-32 레지스터 정리

리버싱(Reverse Code Engineering)을 하게 되면 주로 접하게 되는 것이 어셈블리어다. 어셈블리어는 CPU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Intel의 IA-32라고 볼 수 있다. 어셈블리어를 조금이라도 분석하기 위해서는 아래 레지스터들에 대한 내용을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EAX: 누산기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연산들이 수행된다.ECX: 개수, 횟수 등을 저장하는 카운터로 주로 사용된다.EDX: 누산기의 확장으로 누산기와 관련된 연산에서 사용된다. EDX와 EAX를 합쳐 64비트 연산을 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EBX: 일반적인 데이터 레지스터로, 원래 16비트 모드에서는 포인터로 사용했다. ESP (stack pointer): 스택의 꼭대기 주소를 담는다. EBP (base ..

IT 2017.12.25

[MFC] 64bit에서 32bit MySQL ODBC 연동 방법

MFC ODBC 연동에 관한 검색을 해보면 제대로 된 내용을 찾기가 힘들다. 대부분 옛날 버전의 VS를 사용하거나 잘못된 내용이 많이 보여서 정리하게 됐다. 요새 대부분 컴퓨터들이 64bit 운영체제를 사용하는데 그렇다면 MySQL을 설치할 때도 64bit로 설치했을 가능성이 높다. ODBC 데이터 원본 관리자를 검색해서 켠 다음 드라이버를 확인해보자. 저 녀석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유니코드를 사용할 것이니까. 만약 ODBC 드라이버를 64bit로 설치해서 없다면 mysql 설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다운로드해야 한다. 64bit로 하면 안 되냐고? 데이터 소스 선택이 되지 않는다. (필자만의 문제일 수 있다.) 해결 방법을 아는 사람은 댓글로 알려주길 바란다. 그리고 db를 만들어야 한다. MySQL C..

IT 2017.12.24